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코인이야기37

트래블룰 시행 1년 후 변화 트래블룰이란? 트래블룰(Travel Rule)은 미국의 국제자금세탁방지법(FATF)에서 제시한 가상자산(Virtual Asset) 거래 시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의 이체 시스템이다. 가상자산 거래 시, 블록체인 상에서 거래 기록만 남아있어 거래 당사자의 신원확인 및 자금세탁 방지를 위한 검증이 어려웠다.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미국의 국제자금세탁방지법에서는 가상자산 거래 시 '트래블 룰'을 도입하게 되었다. 트래블 룰은 가상자산 거래 시 거래 당사자 간의 정보 공유를 의무화하는 제도이다. 이제 가상자산 거래 시 거래 당사자는 상대방의 정보(이름, 주소, 계좌번호 등)를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양식에 맞춰 기록하고 교환해야 한다. 이렇게 기록된 정보는 국가 간 정보 공유 체계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자금세.. 2023. 4. 3.
암호화폐지갑과 전송방법 코인 지갑이란 디지털 지갑은 암호화폐를 보관, 송금, 수신하기 위한 전용 소프트웨어입니다. 디지털 지갑은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는 개인키(비밀키)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거래에 필요한 서명을 생성하여 암호화폐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코인 지갑은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로 구성된다. 소프트웨어 지갑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나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다. 하드웨어 지갑은 오프라인 상태에서 암호화폐를 보관하고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전용 디바이스다. 코인 지갑에는 공개키와 비밀키가 포함됩니다. 공개키는 다른 사용자가 암호화폐를 보낼 때 사용되는 주소다. 비밀키는 지갑 소유자만이 알고 있는 비밀번호와 같은 것으로, 암호화폐를 전송하거나 지갑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비밀키가 필요하다. 코.. 2023. 3. 25.
웹3.0과 관련 코인 웹 3.0 웹 3.0은 기존의 웹 2.0에서 발전하였으며, 인공지능, 블록체인, IoT 등 다양한 기술의 발전과 활용으로부터 시작되었다. 2001년에는 팀 버너스리(Tim Berners-Lee)가 Semantic Web을 처음 제안하였다. 이것은 정보를 더욱 구조화하고 의미론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기술적인 프레임워크를 제시하는 것이었다. Semantic Web은 더 많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의미론적으로 분류하고 연결하여 보다 쉽게 검색하고 이해할 수 있는 웹을 만들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이후, 인공지능과 머신 러닝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웹 3.0은 더욱 발전하게 되었다. 인공지능은 많은 양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인간이 하지 못하는 일들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들에.. 2023. 3. 17.
SVB발 호재, 탈중앙화로 몰리는 사람들 SVB 은행파산으로 비트코인 급등 SVB파산이 쏘아 올린 미국실리콘밸리 은행들의 연쇄 파산위기로 시끄러운 가운데 비트코인이 반사 이익을 얻고 있다. 지난 3월 초 실버게이트 파산 이후 주춤했던 비트코인이 미국 은행 세 곳이 영업을 중단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한 뒤 14일 월요일부터 사흘 연속 급등하고 있다. 그동안 강한 저항선으로 작용하던 2만 5천 달러를 넘어 연고점을 단숨에 경신했다. 이번 은행 파산은 2009년 비트코인 탄생 이후 처음 발생한 대규모 금융 위기이다. 이번 금융위기로 탈중앙화의 장점이 부각되며 투자자들의 자금이 비트코인으로 몰리는 추세다. 비트코인 급등의 주요 원인은 코인이 은행과 같은 중앙화된 금융시장의 대안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은행의 위기로 비트코인이 안전한 피난처이자 위험 회.. 2023. 3.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