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코인이야기37 이더리움 클래식과 이더리움 (ETC vs ETH) 이더리움 클래식의 시작 이더리움클래식은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분기된 이더리움의 이전 버전이다. 이더리움 클래식(Ethereum Classic)은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분기(Branch) 중 하나로, 2016년 7월 이더리움 네트워크가 분기한 결과물이다. 이더리움 분기의 원인은 2016년 6월 DAO(Distributed Autonomous Organization) 해킹 사건으로,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DAO 스마트 계약을 이용한 해킹 사건이 발생하면서 이더리움 개발자들은 하드 포크(Hard Fork)를 이용한 네트워크의 업그레이드를 시도했다. 하지만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일부 참여자들은 하드 포크가 분산된 분산형 자율조직(DAO)의 합의를 무시하고 네트워크를 변경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이의를 제기하며, 하드 .. 2023. 3. 14. 2023년 기술트렌드, 영지식 증명 영지식 증명이란? 영지식증명 (Zero-knowledge proof, ZKP)은 보안과 관련된 분야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어떤 정보를 증명하는 과정에서 해당 정보를 직접적으로 공개하지 않으면서 그 정보가 올바르다는 것을 증명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정보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그 정보를 가지고 있는 측이 다른 측에게 직접적으로 보여줘야 한다. 하지만 영지식증명은 그러한 직접적인 공개를 하지 않으면서도 정보가 올바르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와 B가 있다고 가정해 보자. A는 비밀번호를 알고 있지만, B는 모른다고 가정해 보자. A는 B에게 자신이 올바른 비밀번호를 알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 싶다. 하지만 비밀번호를 직접적으로 공개하면 보안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영.. 2023. 3. 13. 샌드박스 게임과 향후 전망 샌드박스 코인 샌드박스(Sandbox)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가상현실(VR) 기반의 게임 개발 플랫폼이다. 이더리움(ethereum) 블록체인 기반의 샌드박스 코인(SAND)은 이 플랫폼에서 게임 내에서 사용되는 가상 화폐다. 샌드박스는 2011년부터 시작된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 가능성을 인식하면서 개발이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샌드박스에서 게임을 만드는 개발자들이 직접 샌드박스 코인을 발행해 가상 화폐로 사용하였으나, 2020년에 이더리움 블록체인 상에서 토큰화되어 공식적으로 발행되기 시작했다. 샌드박스 코인은 게임 내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게임 아이템 구매, 랜드(Land) 구매, 땅 개발 및 건물 건설, 그리고 게임 참여자들 간의 거래 등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게임 내 경제.. 2023. 3. 10. 중국 코인과 중국의 암호화폐 규제 중국에서 만들어진 코인 중국에서 만들어졌거나 중국의 영향을 받는 코인은 다양하다. 여기서 대표적인 8가지 코인에 대해서 알아보자. 비트코인 캐시 (Bitcoin Cash, BCH) : 2017년 8월에 비트코인에서 분기된 하드포크로 만들어진 코인으로, 블록 크기를 8MB로 늘려서 트랜잭션 처리 속도를 높였다. 이 코인의 개발팀 중에는 중국인들도 많이 참여하고 있으며, 중국 내에서 비트코인 캐시 거래량이 매우 높은 편이다. 이오스 (EOS) - 이오스는 블록원(Block.one)이 개발한 블록체인 기술입니다. 이오스는 중국의 기술 기업인 비상체인(EOSIO)이 개발한 기술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비상체인은 중국 베이징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이오스의 개발팀 중에는 중국인들도 많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트.. 2023. 3. 9. 이전 1 2 3 4 5 6 ··· 10 다음 반응형